본문 바로가기
배포/Linux(Ubuntu)

4. MobaXterm과 cmd로 우분투에 접속해보기

by moca7 2024. 12. 5.

 

 

 

ㅁ 어제 리뷰(1~3)

 

- 어제 WSL과 VirtualBox에 우분투를 깔았다.

- WSL에 설치한 우분투와 버츄얼박스에 설치한 우분투, 이렇게 두개의 서버에 접속해본다.

 

 

 

(1) WSL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하기

 

 

 

 

- MobaXterm을 실행한다.

- WSL에 설치한 우분투 주소인 172.24.92.208 (lsw) 세션을 클릭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 접속이 거부되었다. WSL 우분투가 실행되지 않아서 접속할 수 없다.

 

- MobaXterm은 원격 서버가 실행 중이고, 접속 가능한 환경이 설정되어 있을 때 접속할 수 있는 터미널 프로그램일 뿐이다.

 

- WSL에 있는 우분투를 먼저 실행하고 접속해야 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 WSL에 설치한 Ubuntu를 실행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 sudo service ssh start

- Linux(Ubuntu)에서 SSH(Secure Shell) 서비스를 시작하는 명령어다.

- 비밀번호 lsw를 입력하고 엔터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 다시 MobaXterm으로 돌아와서 WSL에 설치한 우분투 세션을 클릭한다.

- 정상적으로 접속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 history

 

- 현재 쉘에서 실행한 명령어 내역을 출력하는 명령어다.

- 어제 WSL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해서 저런 명령어들을 썼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(2) VM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하기

 

- MobaXterm에 세션을 하나 더 만들어서 WSL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했듯이,

똑같은 개인키로 VM에 설치한 우분투에도 들어갈 예정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- MobaXterm에서 상단의 Sessions - New session을 클릭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- SSH를 클릭한다.

 

- Remote host에 버츄얼박스에 설치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한다.

(VirtualBox로 우분투를 키고, 바탕화면 우클릭 - Open in terminal에서 ip a를 치면 IP 주소가 나온다)

 

- Specify username에 admin1을 입력한다.

(VirtualBox에 우분투를 설치할 때 만들었던 username이다)

 

- Use private key에 d드라이브의 개인키(id_rsa)를 입력한다.

 

- Ok를 누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 WSL에 설치한 우분투와 버츄얼박스에 설치한 우분투, 이렇게 두개의 서버에 하나의 개인키로 접속했다.

 

 

 

 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 

 

 

ㅁ 어제 리뷰(1~3)

 

- 우리가 쓰려고 하는 서버는 리눅스 서버다. 그 중에서도 우분투라고 하는 배포판을 사용했다.

 

 

- 리눅스는 윈도우처럼 OS여서 설치가 필요하다. 설치하려면 시스템이 필요한데,

물리적인 시스템에 리눅스를 설치할 수도 있고,

가상 시스템(Virtual Machine, VM)에 서버(리눅스)를 설치할 수가 있다.

 

 

- 어제는 2가지 방식으로 리눅스(우분투)를 설치했다.

- 첫번째로 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이라고 하는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해서 설치했고,

두번째로 VirtualBox같은 가상화프로그램으로 VM(버추얼 머신)을 만들고, VM에 우분투를 설치했다. 

 

- 두 가지 방식 모두 가상 시스템을 사용한 설치 방법이다.

WSL도 실제 물리적인 시스템에 설치한 것이 아니라, 윈도우 운영체제 내에서 리눅스를 실행하는 환경을 제공하는 가상화 방식

 

 

- WSL은 서비스를 위한 용도는 아니고 리눅스를 학습하거나 체험하기 위한 방식이다.

실제로 리눅스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VirtualBox에 설치해야 한다. VirtualBox에는 온전히 설치된 우분투가 있다.

 

- WSL은 윈도우 커널과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리눅스의 완전한 서버 기능(예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세부 제어, 커널 모듈 설치, 고급 시스템 설정)을 사용할 수 없다.

- 반면 VirtualBox는 독립된 가상 머신을 제공하며, 실제 서버처럼 네트워크와 하드웨어 자원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어 서비스 운영 및 실제 서버와 같은 환경을 구성하려는 경우 더 적합하다.

 

 

 

 

 

ㅁ WSL, VM, 그리고 AWS

 

- 오늘 하나 더 해볼 것은 aws다. AWS는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를 제공한다.


-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는 EC2(Elastic Compute Cloud)라고 한다.

- EC2가 VM이다. EC2에 우분투나 다른 OS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.

 

 

 

- 어제 VirtualBox에 우분투를 설치할 때 ISO 파일을 사용해 수동으로 설치했다.
반면, AWS에서는 서버를 생성할 때 원하는 OS를 선택하면 애초에 설치된 상태로 시작된다.

 

- WSL과 AWS 모두 우분투 설치 과정이 간단하다.

- WSL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면 자동으로 우분투가 설치된다.

- AWS는 서버 생성 시 선택한 OS가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.

 

- 반면, VirtualBox는 직접 ISO 파일을 내려받아 수동으로 설치해야 한다.

 

 

- 실제 시스템이나 VM(가상머신)에 설치할 경우에만 수동으로 설치한다.

WSL이나 AWS 같은 경우에는 설치가 된 상태로 시작한다.

 

 

 

 

- 학습 목적에서는 WSL, VirtualBox, AWS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.
그러나 실제 환경에서는 AWS를 주로 사용하거나 물리적인 시스템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.

 

- VirtualBox와 AWS에서는 우분투뿐만 아니라 윈도우 서버도 설치할 수 있다.
하지만 WSL은 리눅스 전용 기능이기 때문에 리눅스만 설치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 

 

 

ㅁ 윈도우 cmd로 WSL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해보기

 

 

- 서버를 설치하고 사용하려면 그 서버에 접속을 해야한다.

 

- 윈도우는 설치 후 바로 화면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,

리눅스 서버는 물리적 혹은 가상 환경 어딘가에 위한다.

 

- 일반적으로 서버는 화면이 없는 상태(headless)로 동작한다.

화면이 없는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려면 터미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.

 

- 어제 사용한 MobaXterm 같은 터미널 프로그램을 활용해도 되지만, 
윈도우의 기본 제공 프로그램인 cmd(명령 프롬프트)를 사용해서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.

- cmd보단 MobaXterm이 편하다.

cmd든 MobaXterm이든 아무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.  

 

- 윈도우 cmd로 WSL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해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 d:

- cmd에서 드라이브를 변경하는 명령어다.

- d:를 입력하면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D 드라이브로 전환한다.

 

 

○ dir

- cmd에서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및 폴더 목록을 출력한다.

- id_rsa가 보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 ssh

- 윈도우 cmd에서 단순히 ssh만 입력하면 사용법(usage) 또는 명령어 옵션 목록이 출력된다.

- 이는 SSH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고, 올바르게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.

 

 

○ ssh -i id_rsa lsw@172.24.92.208  

- id_rsa(개인키) 파일을 사용하여 172.24.92.208 서버에 lsw 사용자로 SSH 접속을 시도하는 명령어다.

 

 

- 그런데 WARNING: UNPROTECTED PRIVATE KEY FILE!이 뜬다.

- 개인 키 파일의 퍼미션이 과도하게 열려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경고다.

- 이 키 파일을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속성을 설정해서 퍼미션을 제한해야 한다.

현재는 모든 사람이 쓸 수 있게 설정이 되어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 d드라이브에서 id_rsa 파일을 우클릭하고 속성에서 보안탭에 들어왔다.

 

- 그룹 또는 사용자 이름(G)에 표시된 사용자들이 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.

-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만 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SSH 키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.

 

- 고급을 누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- 상속 사용 안 함을 누른다. 이 개체에서 상속된 사용 권한을 모두 제거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 모두 제거해서 아무도 사용하지 못한다. 추가한다.

- '보안주체 선택'을 클릭한다. 

- '선택할 개체 이름을 입력하시오(예제)(E)'에 'gd'를 입력하고, '이름 확인(C)'을 누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- 모든 권한을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.

 

 

 

 

 

- 그럼 이렇게 뜬다. 적용이나 확인을 누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○ ssh -i id_rsa lsw@172.24.92.208

 

- 다시 cmd로 돌아와서 WSL에 설치한 우분투에 접속해보면 정상적으로 접속된다. 

- MobaXterm을 써도 되고, cmd를 써도 된다. 

어쨋든 cmd보단 MobaXterm이 훨씬 편하다는 얘기다.